2013 |
파스테르나크 시에서의 말의 탄생과정-초기 서정시(1913-1929)를 중심으로
| 이종현 |
2011 |
A Cognitive Approach to the Russian Dative Case
| 동영은 |
2011 |
하름스 창작행위에서 0의 원칙과 「노파」이해
| 김수지 |
2009 |
나보꼬프의 킹, 퀸, 잭 연구 : 조작자로서의 예술가 형상
| 조혜원 |
2009 |
삶과 예술의 경계에서의 시냐프스키/테르츠의 창작 : 소설 『편안한 밤 되세요』를 중심으로 = Творчество Синявс кого/Терца: на границе жизни и искусства
| 김올가 |
2008 |
"거래"를 통해 알아본 <지깐까 근교의 야화>: 결혼과 복수를 중심으로
| 이경원 |
2008 |
죄와 벌에 나타난 시간의 문제- 현재성을 중심으로
| 신봉주 |
2008 |
아르부조프 드라마의 재조명 : 침묵과 자기 인식의 드라마투르기
| 서진화 |
2008 |
Мифо-фольклорная поэтическая картина мира С. Есенина= Мифо-фольклорная поэтическая картина мира С. Есенина
| 옐레나 |
2008 |
러시아어 지소사의 의미화용론적 연구 : 인지적 접근을 중심으로
| 윤효승 |
2006 |
E. 자먀찐의『우리들』연구 : 개인의 분열과 글쓰기
| 서광진 |
2006 |
A. 체호프 희곡창작에서의 시간 관념의 진화 :『벚나무 동산』의 제의적 시간을 향하여
| 윤서현 |
2006 |
B. 나보꼬프의『루진의 방어』: 두 세계의 문제
| 김미경 |
2006 |
러시아어 "c" 동반구문에서의 일치에 관한 연구
| 이주홍 |
2005 |
뿌쉬낀의 <작은 비극들>: 연극성의 근거로서의 연작성
| 신영선 |
2005 |
러시아어의 <수의적 여격 명사구 + 부정사> 구문 연구
| 남미영 |
2004 |
M.불가꼬프의 소설 <거장과 마르가리따>의 푸가적 구성
| 김진성 |
2003 |
B. 로자노프의 『낙엽』: 작가와 글쓰기의 문제
| 김민아 |
2003 |
В. 마야꼽스끼 드라마의 발전과정
| 조규연 |
2002 |
안드레이 쁠라또노프의 「체벤구르」 연구 : 유토피아 기획을 중심으로
| 김영욱 |
2002 |
바흐친의 라블레론에 나타난 민중의 타자성
| 서미현 |
2002 |
러시아어 동사 활용 기술의 비판적 고찰
| 권경준 |
2001 |
마리나 츠베타예바 후기 산문의 신화 시화 : 마리나 츠베타예바 시학의 상징주의적 경향
| 강병수 |
2001 |
미하일 불가꼬프의 적자색 섬 연구 : 패러디를 중심으로
| 백승무 |
2001 |
러시아어 부정 양화사의 의미·통사 연구
| 정하경 |
2000 |
중간태 개념으로 접근한 러시아어의 -ся구문 연구: 코이네 그리스어와의 비교를 통하여
| 김요섭 |
2000 |
. 블록의 "서정드라마": 그로테스크와 서정성의 공존
| 박선영 |
2000 |
러시아어 수사구문의 통사적 특성 및 의미, 담화 기능 연구
| 이수현 |
2000 |
벨린스끼와 근대성 : 근대적 자기의식의 형성과 근대문학비평의 정초
| 최진석 |
1999 |
현자 예피파니의 "스테판 성자전": 성자전 장르와 종교사상적 배경의 문제를 중심으로
| 김승문 |
1999 |
까라마조프家의 형제들"에서의 낭만적 부정성(否定性) 연구: 이반을 중심으로
| 김연경 |
1999 |
체홉의 "결투" 연구: 패러디와 인뗄리겐찌야
| 변성호 |
1998 |
바라뜨인스끼의 시 세계: "경계적 존재-시인"의 비극성
| 고상미 |
1998 |
로뜨만 기호학에 있어서 텍스트 이론의 진화
| 김수환 |
1998 |
러시아어 부동사구문 연구
| 이선영 |
1998 |
브로드스키의 "고르부노프와 고르차코프": 언어의 힘을 통한 유형의 극복
| 이지연 |
1998 |
Л. Толстой의 "Крейцерова соната" 분석
| 정해영 |
1998 |
러시아어 술어 조격 연구: 술어 주격과의 비교
| 허미영 |
1997 |
이반 뇌제와 쿠릅스키 간의 왕복 서한에 대한 문학적 고찰
| 김계희 |
1997 |
러시아 모험문학 고찰: 브일리나, 17세기 번역 기사담, 그리고 뾰뜨르 시대의 창작 모험담을 중심으로
| 서선정 |
1997 |
"예브게니 오네긴"의 여행의 모티프 연구
| 심지은 |
1997 |
부닌의 "Жизнь Арсеньева" 연구: "서정적 산문"과 "예술가 정신"에 관하여
| 이경완 |
1997 |
러시아어 존재문 분석: 의미론적, 구문론적 특성
| 조지원 |
1997 |
만델슈탐 前期 시학에서의 존재와 말의 문제
| 차지원 |
1996 |
마야코프스키 문학의 이원적 의미체계 분석: 物과 생명
| 김상구 |
1996 |
러시아어 재귀소유형용사 연구: 관점이입을 중심으로
| 김정일 |
1996 |
다닐 하름스의 엘리자베따 밤: 오베리우 기획을 통한 이해
| 안지영 |
1996 |
낭만적 주인공의 잉여성에 관한 연구: 오네긴과 페초린을 중심으로
| 이현우 |
1996 |
알렉산드르 블록의 "Страшный Мир": 反세계에서의 삶과 詩
| 최종술 |
1995 |
불가꼬프의 "거장과 마르가리따": 악의 정체와 기억의 시학
| 권정임 |
1995 |
17세기 민주풍자문학 연구: 그 문학사적 의의에 관하여
| 권현정 |
1995 |
나보꼬프의 "단두대로의 초대" 연구: 리얼리티 개념을 중심으로
| 김윤영 |
1995 |
예술적 진리와 대화적 다성성의 공존: M. 바흐찐 연구
| 이문영 |
1995 |
Л. Н. Толстой의 죽음의 테마 硏究
| 정홍현 |
1994 |
Б. Пастернак의 소설 "Доктор Живаго" 연구: 우연성과 순간성을 중심으로
| 김원한 |
1994 |
도스또예프스키의 "지하생활자의 수기" 연구: 서술구조와 패러디를 중심으로
| 김정아 |
1994 |
스까즈 연구: 고골, 레스꼬프, 바벨, 조셴꼬의 작품을 중심으로
| 변현태 |
1994 |
Л. Н. 똘스또이의 "안나 까레니나" 연구: 작품의 구조적 통일성에 관하여
| 오원교 |
1994 |
Н. В. 고골의 "감찰관" 연구: 구성요소로서의 웃음과 극 의식
| 윤효진 |
1994 |
열린 구조를 통해 파악한 라스뿌찐 작품의 닫힌 연쇄
| 이대식 |
1993 |
Борис Пастернак의 《Второе Рождение》의 해석시도
| 박소연 |
1993 |
Герои драматургии А. Вампилова
| 안병용 |
1993 |
러시아어 명령구문 연구: 의미론적, 화용론적 접근
| 전선경 |
1993 |
러시아어 지소사 의미 및 기능 연구: 담화 차원을 중심으로
| 홍택규 |
1992 |
Исаак Бабель의 "Конармия": 話者의 갈등상황과 소설 구성요소와의 관련을 중심으로
| 박현섭 |
1992 |
도스또예프스키의 "백치"에 나타난 므이쉬낀의 悲劇性 硏究
| 백준현 |
1992 |
노어의 "행위주-부정사 구문" 연구
| 조희경 |
1991 |
Владимир С. Соловьёв 硏究: Три разговора о войне, прогрессе и конце всемирной истории со включением краткой повести об Антихристе를 중심으로
| 박종소 |
1991 |
露語의 否定 生格 硏究
| 이상경 |
1991 |
똘스또이의 "전쟁과 평화": 작가의 역사철학과 작품의 통일성에 관한 연구
| 정위용 |
1990 |
도스또예프스끼의 "악령"에 나타난 분신테마 분석
| 박혜경 |
1990 |
화제와 러시아 어순 연구
| 송은지 |
1990 |
고골리 중편소설 연구: 뻬쩨르부르그 이야기에 구연된 구원의 순환구조를 중심으로
| 양민종 |
1990 |
러시아어 시상(tense-aspect)과 준거 시점(reference point)의 기능
| 이형규 |